적어도 이 두 경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의 수학적 풀이가 필요하다고 본다
한은 내포적 혹은 외연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
내포적 정의란 서수적 한이 낱개의 하나로 순서대로 쌓이고 모여서
이룩되는 것이다
'KT스카이라이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같은 역설에 부딪치게 되는 것이다 (0) | 2014.09.22 |
---|---|
사이에 혼란이 생기지 않을 때에만 가능하다 (0) | 2014.09.21 |
관계란 일반언어의 동사에 해당한다 (0) | 2014.09.19 |
시원적인 사고 위에서 전개되고 있다 (0) | 2014.09.18 |
만약 과정 철학을 하던 서양철학도가 (0) | 2014.09.16 |
하이데거 철학과의 관계에서 (0) | 2014.09.14 |
천인지도를 미래적 관점에서 나타내면 (0) | 2014.09.13 |
대인지도를 매개로 한 성명지리의 실천에 대하여 (0) | 2014.09.12 |
신덕과 물정의 통일묘합성으로 규정하고 (0) | 2014.09.11 |